건강상식
감기와 기관지염의 차이
헬쓰넘버원
2025. 6. 13. 16:46
728x90
반응형
감기와 기관지염의 차이점 완벽 정리
환절기나 겨울철이 되면 감기와 함께 기침과 가래를 동반한 증상이 흔히 나타납니다. 단순 감기로 생각하고 넘기기 쉬우나, 경우에 따라 기관지염일 수 있어 정확한 구분이 필요합니다.
감기와 기관지염, 무엇이 다를까?
항목 | 감기 | 기관지염 |
---|---|---|
정의 | 상기도(코, 목)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 기관지에 염증이 생긴 상태 |
주요 증상 | 콧물, 코막힘, 인후통, 미열, 기침 | 기침(주로 심함), 가래, 호흡 곤란, 가슴 답답함 |
기침 지속 기간 | 보통 5~7일 내 호전 | 2주 이상 지속되기도 함 |
원인 |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 | 대부분 바이러스, 드물게 세균 |
발열 | 있을 수도 있음 (보통 경미함) | 미열 또는 고열 동반 가능 |
치료 | 대증요법 (휴식, 수분, 해열제 등) | 기침약, 기관지 확장제, 필요 시 항생제 |
기관지염의 주요 경고 신호
- 2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
- 녹색 또는 누런 가래
- 숨 쉴 때 쌕쌕거림(천명음)
- 가슴 통증 또는 답답함
- 열이 38.5도 이상 지속될 경우
위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단순 감기가 아닌 기관지염일 가능성이 높아 내과 또는 호흡기내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감기와 기관지염, 모두 공통으로 필요한 관리법
- 충분한 수면과 휴식
- 수분 섭취로 점막 촉촉하게 유지
- 실내 습도 40~60% 유지
- 금연 및 간접흡연 피하기
-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철저히 하기
예방을 위한 TIP
- 독감 백신 및 폐렴 예방접종 권장
- 면역력 강화: 균형 잡힌 식사, 운동, 스트레스 조절
- 감기 증상 초기에 무리하지 않기
마무리하며
감기와 기관지염은 증상이 비슷하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다릅니다. 특히 기침이 오래 지속되거나 가래가 심할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조기에 구분하고 적절히 대처하면 합병증 없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기침도 방치하지 말고, 몸의 신호에 귀 기울이세요.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