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혈압이 올랐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고혈압은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도 많지만, 때로는 갑작스럽게 혈압이 급상승하면서 심각한 응급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두통, 가슴 통증, 어지럼증, 시야 흐림 등 이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빠른 대처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혈압 발생 시 증상 확인부터 응급 대처법, 이후 관리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안내해드립니다.
고혈압 위기 상황,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
고혈압 위기(Hypertensive Crisis)는 수축기 혈압이 18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120mmHg 이상일 때 발생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갑작스러운 두통, 특히 후두부 중심
- 시야 흐림 또는 복시(겹쳐 보임)
- 가슴 통증, 숨 가쁨
- 어지럼증 또는 실신 느낌
- 팔이나 다리 마비, 감각 이상
- 의식 저하 또는 경련
⚠️ 주의: 이런 증상이 있다면 단순한 고혈압이 아니라 응급 고혈압일 수 있으며, 즉시 대응해야 합니다.
고혈압 증상 발생 시 대처법
1. 즉시 앉아서 안정을 취하세요
- 갑자기 일어서는 행동은 위험합니다.
- 벽에 기대거나 편한 자세로 심호흡을 하며 안정을 취하세요.
2. 혈압을 측정하세요
가정용 혈압계가 있다면 즉시 확인합니다.
수축기 18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120mmHg 이상이면 고혈압 위기로 간주합니다.
3. 기존에 처방받은 약이 있다면 복용
- 기저 고혈압 환자라면 속효성 약물을 복용합니다.
- 초진인 경우엔 자의적 복용을 삼가고 병원에 연락해야 합니다.
4. 119 또는 응급실 방문 필요 여부 판단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즉시 119 또는 응급실로 이동하세요.
- 시야 흐림, 말이 어눌함
- 팔, 다리 마비나 감각 이상
- 가슴 통증, 호흡곤란
- 의식 혼미, 극심한 두통
일시적인 혈압 상승일 수도 있을까?
혈압은 운동, 스트레스, 카페인 등으로도 일시적으로 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엔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원인을 확인해야 합니다.
- 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경우
- 혈압 상승이 자주 반복될 경우
- 하루 2~3회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일 경우
- 뇌졸중, 심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고혈압 응급 이후 관리법
✔ 규칙적인 혈압 측정
아침, 저녁 하루 2회 측정하며 기록을 남겨두세요.
✔ 염분 줄이기
국물 음식, 인스턴트 식품은 자제하고, 저염식을 실천합니다.
✔ 꾸준한 유산소 운동
빠르게 걷기, 자전거, 수영 등 주 3~5회, 30분 정도가 적당합니다.
✔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수면 부족과 만성 스트레스는 고혈압의 주요 원인입니다.
결론
고혈압은 무증상일 때보다 갑작스러운 증상 발생 시 대처가 더욱 중요합니다. 증상이 나타난다면 절대 방치하지 말고, 신속하게 조치하고 필요 시 의료기관에 즉시 연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장 좋은 치료는 예방입니다. 평소 혈압을 체크하고, 건강한 식단과 운동으로 고혈압을 예방하세요.
태그: #고혈압응급처치 #혈압올랐을때 #고혈압대처법 #고혈압관리 #혈압측정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과 관련된 주요 질병들 (22) | 2025.06.29 |
---|---|
목디스크 수술 방법들 (99) | 2025.06.28 |
목디스크 시술 방법들 (59) | 2025.06.27 |
관절염에 대해서 (62) | 2025.06.25 |
고지혈증에 대해 알아보기 (128) | 2025.06.24 |